본문 바로가기
  • 저희는 평생 개발할 운명이걸랑요
Tech.log/네트워크

[라우팅을 통한 경로배정 체계과 인터네트워킹이란?]

by SpaciousKitchen 2021. 5. 30.

 

라우팅을 통한 경로 배정 체계

 

최적성

단순성

안정성

유연성

 

 

 - 정적 라우팅 기법
    입력된 라우팅 정보가 재입력을 하기 전까지 이전의 값이 변하지 않고 고정된 값을 유지하는 라우팅 기법
    정적 라우팅 기법은 관리자가 수동적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규모가 작은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


- 장점 : 가장 간단한 구현, 가장 효과적인 라우팅 가능
- 단점 : 전송 경로가 고정되어 트래픽 변화에 따른 동적 경로 배정 불가


   - 동적 라우팅 기법
    인접한 라우터들 사이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교환하고, 라우팅 테이블을 자동으로 작성하도록 하는 것

 


- 장점 : 특정 네트워크나 라우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네트워크의 특정 위치에서 혼잡이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
- 단점 : 경로 결정 과정이 복잡함, 경로 결정 과정에서 라우터 부담 증가


   - 디폴트 라우팅 기법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지 않는 주소를 갖는 패킷들을 디폴트 라우터가 지정한 경로 전송하는 것

 

 

인터네트워킹이란?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개개의 네트워크간의 접속을 의미한다.시스템을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Gateway)라 부른다. 게이트웨이는 기능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지만 리피터, 브리지, 라우터 등이 가장 일반적인 구분




라우터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지원한다.
네트워크 계층은 경로 선택 기능을 제공해야 하므로 임의의 네트워크에서 들어온 데이터를 어느 네트워크로 전달할지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라우터는 자신과 연결된 네트워크와 호스트 정보를 유지하고 관리
함으로써, 어떤 경로를 이용할 수 있고, 또 어떤 경로를 이용해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런 판단을 위한 정보는 일반적으로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에 보관한다.

그림1.라우팅 테이블 이미지

 

 

 

 

 

 

 

'Tech.log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AP API VS REST API]  (0) 2021.06.06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  (0) 2021.05.24
[DNS round robin 방식]  (0) 2021.05.23
[GET VS POST]  (0) 2021.05.21
[CORS란]  (0) 2021.05.20

댓글